본문 바로가기

이슈

무등록 위생불량 시설에서 김치찌개 유통 식약처 적발

1. 사건 개요

2025년 5월, 경기도의 무등록 제조시설에서 제조된 김치찌개가 전국 식당에 무단 납품된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 결과, 이 업체는 정식 등록도 없이 약 16.1톤, 1억 2천만 원어치의 찌개를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 문제의 핵심

이번 사건은 무등록 시설에서 제조된 대용량 음식이 일반 식당을 통해 소비자에게 유통되었다는 점에서 심각한 위생 및 공공보건 문제가 제기됩니다.

  • 🦠 제조 시설 바닥과 벽에 곰팡이와 물때가 다량 발견
  • 📦 김치찌개 국물을 종이컵에 소분해 보관
  • 📉 기존 시설이 경영난으로 폐쇄되자, 폐업 시설을 무단 활용

 

3. 당사자별 입장

  • 식약처: 무등록 시설 제조 및 유통 혐의로 업체 대표 A씨 검찰 송치. 해당 지자체에 판매 중단 조치 요청
  • 업체 측: 별다른 공식 해명은 없지만, 이전 제조시설이 단전되며 운영이 어렵게 되자 무단 사용한 것으로 확인됨
  • 유통 식당: "정상 등록된 업체인 줄 알았다"며 납품 중단 및 자체 위생 점검 착수

 

4.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해당 김치찌개는 서울, 경기, 대전, 충남 등 최소 7개 납품처를 통해 유통됐습니다. 위생 상태가 불량한 제품이 소비자 식탁에 오른 가능성이 있으며, 일반 소비자의 확인 및 대응이 어려운 구조였습니다.

  • 🥘 음식점 이용자, 해당 메뉴 섭취 후 증상 유무 확인 필요
  • 📣 지자체 및 음식점의 공개 조치 및 회수 여부 확인 요구 증가

 

5. 구조적 배경

이 사건은 대용량 음식 유통 구조에 대한 사각지대를 보여줍니다. 현재 외식 업계에서는 음식 대부분을 자체 조리보다 반조리 제품을 외부에서 납품받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제조 시설의 적정성과 위생 관리는 상대적으로 감시가 미비합니다.

  • 📊 제조-납품-소비의 구조적 비대칭
  • 🔍 식품안전 관련 등록·관리 시스템의 간극
  • ⚖️ 납품처는 책임 회피 가능, 소비자는 피해 증명 어려움

6. 향후 전망 및 당부

식약처는 앞으로도 유사 사례에 대한 집중 단속 및 무등록 제조시설 일제 조사를 예고했습니다. 소비자들은 음식점 이용 시 원산지·제조 정보를 확인하고, 음식 섭취 후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 식약처나 보건소에 즉시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음식점들은 납품 업체의 등록증·식약처 인증 여부 확인을 반드시 거쳐야 하며, 유통 중인 제품에 대한 주기적인 검수 시스템을 갖추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김치찌개사태 #무등록제조업체 #식품위생 #식약처단속 #음식점위생 #불량식품 #소비자주의 #검은곰팡이 #식품사고 #식중독예방 #납품사고 #반조리식품 #외식업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