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 서울 마을버스 환승 체계 이탈 예고 시민 부담 총정리

이슈 연구소 2025. 5. 23. 16:55


📋 목차


🔄 1. 현재 마을버스 환승 구조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체계는 마을버스, 시내버스, 지하철이 하나의 통합 환승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기본 요금은 한 번만 지불하고 총 5회까지 환승이 가능하다.

예: 마을버스 → 지하철 → 시내버스를 이용해도 추가 요금 없이 거리 비례 요금만 납부하면 된다.


📉 2. 왜 환승 체계에서 빠지겠다고 하나?

마을버스는 민간 업체가 운영하지만, 시민의 환승 할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손실 보전을 서울시로부터 받아왔다.

  • 2025년 서울시 보전액: 412억 원
  • 업체 요구액: 440억 원
  • 양측 격차: 약 28억 원

마을버스 연합회는 "지원금 인상이 없다면 환승 체계에서 전면 이탈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 3. 서울시 vs 업체 갈등 요약

항목 서울시 마을버스 업계
2025년 보전액 412억 원 책정 440억 원 요구
입장 한계 예산 내 지원 손실분 전액 보전 요구
결과 지속 협상 중 협상 불발 시 환승체계 이탈 경고

📊 4. 시민에게 실제 미치는 영향

🚍 요금 변화 시나리오

환승 유형 현재 (할인 적용) 환승 제외 시 증가 금액
마을버스 → 지하철 1,250원 1,250 + 1,250 = 2,500원 +1,250원
마을버스 → 시내버스 1,250원 1,250 + 1,200 = 2,450원 +1,200원

출퇴근 왕복 기준 하루 최대 2,500원 추가, 월 25일 기준으로 약 5~6만 원의 교통비 증가가 예상된다.

🚶 이동 거리 및 시간 증가 예시

  • 기존: 마을버스 정류장 → 환승 → 직장 앞 하차 (30~35분)
  • 환승 제외 시: 대체 노선 탑승 → 도보 600~900m 증가 → 총 소요시간 45~50분 이상

특히 노약자·학생·비장애인 중심의 단거리 환승 수요자에게 물리적·경제적 부담이 급증할 수 있다.


🚨 5. 지하철·시내버스와의 동시 위기

  • 🚌 서울 시내버스: 5월 28일 총파업 예고
  • 🚇 서울 지하철: 첫차 운행 단축 방침 → 내부 반발

마을버스의 환승체계 이탈이 현실화될 경우, 서울 전역의 대중교통 연결망에 **균열**이 생긴다.

환승 단절 + 파업 병렬 발생 시 시민들의 이동권 보장 자체가 위협받는 상황으로 확대될 수 있다.


🧠 6. 마무리: 정책 조율의 필요성

마을버스는 ‘사적 운영’이지만 ‘공적 역할’을 수행해왔다.

시민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단순 예산 논리를 넘은 정책적 설계와 책임 분담이 필요하다.

서울시 대중교통 체계 전반을 재정비하는 큰 조정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 이 글은 서울 대중교통 구조 변화에 따른 시민 피해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한 정보성 콘텐츠입니다.


📎 출처 및 영상 보기


🏷️ 태그

#서울마을버스 #환승체계이탈 #서울시교통정책 #환승할인중단 #요금인상 #시민부담증가 #시내버스파업 #지하철갈등 #서울대중교통위기 #교통체계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