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강남 무면허 약물운전 8중 추돌 사고 심신미약 주장 불인정

이슈 연구소 2025. 5. 31. 02:22

 

서울 강남에서 무면허로 약물운전을 하다 8중 추돌 사고를 낸 20대 여성에게 1심에서 징역 3년 6개월의 실형이 선고되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의 심신미약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목차

 

① 사건 개요

 

 

  • 사건 일시: 2024년 11월 2일 오후 1시경
  • 장소: 서울 송파구 거여동 및 강남구 테헤란로
  • 피고인: 김모(27) 씨, 무면허 상태에서 어머니 차량 운전
  • 사고 경위: 유모차를 밀던 여성을 치고 도주 후, 강남 테헤란로에서 차량 7대와 오토바이를 들이받아 8중 추돌 사고 발생
  • 피해 규모: 총 10명 부상, 이 중 1명은 전치 12주의 중상

 

② 문제의 핵심

 

 

김씨는 사고 당시 신경안정제인 클로나제팜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이를 근거로 심신미약 상태를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재판부는 정신감정 결과를 토대로 판단력이 일부 손상된 정도에 불과하다고 보고, 심신미약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③ 당사자별 입장

 

 

  • 피고인 측: 약물 복용으로 인한 심신미약 상태 주장
  • 재판부: 심신미약은 임의적 감경 사유이며, 해당하지 않거나 감경하지 않겠다고 판단
  • 피해자 측: 엄벌 탄원

 

④ 시민에게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불안 증가: 무면허 및 약물운전에 대한 우려 증대
  • 법적 경각심 제고: 심신미약 주장의 남용에 대한 경계 강화
  • 교통안전 의식 향상: 운전자의 책임감 및 안전운전 중요성 재인식

 

⑤ 구조적 배경

 

 

현행법상 심신미약은 임의적 감경 사유로, 재판부의 재량에 따라 감경 여부가 결정됩니다.

 

이번 판결은 심신미약 주장의 남용을 방지하고,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⑥ 향후 전망 및 당부

 

 

이번 사건은 무면허 및 약물운전의 위험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었습니다. 운전자는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고,

타인의 생명을 위협하는 행위를 삼가야 합니다.

 

또한, 법원은 심신미약 주장의 남용을 방지하고, 공정한 판결을 통해 사회적 정의를 실현해야 할 것입니다.

 


 

📌 요약: 무면허로 약물운전을 하다 8중 추돌 사고를 낸 20대 여성에게 1심에서 징역 3년 6개월의 실형이 선고되었습니다.

 

재판부는 심신미약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이번 판결은 무면허 및 약물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관련 해시태그

 

 

#강남추돌사고 #무면허운전 #약물운전 #심신미약 #교통사고 #법원판결 #사회적책임 #교통안전 #재판부판단 #사회적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