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를 넘어 수익과 정서 치유의 수단으로 주목받는 '식물 키우기'. 2025년 기준 국민 셋 중 한 명이 '식집사'가 되었고,
관련 산업은 2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특히 ‘식테크(식물+재테크)’와 ‘반려식물 클리닉’ 같은 새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 중입니다.
- 1. 식테크란 무엇인가?
- 2. 왜 몬스테라가 주목받는가?
- 3. 국민 3명 중 1명은 식집사?
- 4. 식물로 마음을 치유하는 사람들
- 5. 반려식물 클리닉의 등장
- 6. 서울시의 반려식물 병원 확대 계획
- 7. 제도적 과제와 향후 전망
1. 식테크란 무엇인가?
‘식테크’는 ‘식물’과 ‘재테크’의 합성어로, 식물을 재산처럼 관리하며 투자 수익을 기대하는 활동을 뜻합니다.
특히 희귀하거나 무늬가 독특한 식물은 거래가 활발하며, 전문 커뮤니티와 경매 플랫폼도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식물로는 ‘몬스테라 알보’나 ‘몬스테라 타이 컨스텔레이션’ 같은 희귀 종이 있습니다.
이들 식물의 무늬 잎 한 장은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까지 거래될 수 있어, 관심 있는 이들에게는 '재테크 수단'이 되기도 합니다.
2. 왜 몬스테라가 주목받는가?
몬스테라는 대형 식물로 실내 인테리어 효과가 크고, 공기 정화 능력도 탁월해 인기가 높습니다.
특히 잎에 흰색 무늬가 들어간 희귀 품종은 유전적 변이로 인해 수량이 적고 가격이 높습니다.
2025년 현재, 무늬 몬스테라 잎 한 장이 100만 원을 웃도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으며,
뿌리째 번식 가능한 '삽수' 단위로 거래되기도 합니다.
3. 국민 3명 중 1명은 식집사?
서울시와 업계 통계에 따르면, 2025년 기준 국민의 약 34%, 즉 약 1,745만 명이 집에서 반려식물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들은 자신을 ‘식집사(식물 집사)’라고 부르며, 식물 관리에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 힘입어 실내 원예 관련 산업은 2조 4천억 원 규모로 성장했으며,
가드닝 용품·관리 서비스·식물 치료 등 다양한 부가 산업이 함께 확대되고 있습니다.
4. 식물로 마음을 치유하는 사람들
반려식물은 단순한 인테리어 소품이 아닌 정서적 동반자로 인식됩니다.
반복된 일상 속에서 식물 돌보기를 통해 마음을 비우고 자신에게 집중하는 시간을 갖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특히 2030 세대는 반려동물 대신 식물을 택하기도 하며,
‘식물멍’, ‘식물방송’ 등 식물 중심 콘텐츠도 SNS를 통해 활발히 소비되고 있습니다.
5. 반려식물 클리닉의 등장
반려식물도 생명이기에 관리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일반인은 병해충, 과습, 뿌리썩음 등을 쉽게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이를 위해 서울시를 중심으로 ‘반려식물 클리닉’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클리닉에서는 식물 전문가가 상태를 진단하고, 약 처방, 분갈이, 환경 상담 등을 제공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반려식물 ‘병원’으로 연계되며 장기 입원이나 왕진 서비스도 가능합니다.
6. 서울시의 반려식물 병원 확대 계획
서울시는 2023년부터 클리닉 서비스를 시작해 2024년 기준 1만 4천 건 이상 진료를 기록했습니다.
수요가 늘자 2025년 상반기 중 9곳에서 14곳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입니다.
서울 시민이라면 최대 3개 화분까지 무료 진료가 가능하며,
예약은 서울시 공공서비스 포털이나 각 자치구 클리닉에 전화로 신청하면 됩니다.
7. 제도적 과제와 향후 전망
- 전문 인력 부족: 식물 전문가 확보와 교육 체계 마련이 시급합니다.
- 지속 가능성 확보: 일회성 진료가 아닌 정기적 방문과 관리 체계가 필요합니다.
- 산업 생태계 확장: 민간 기업과 협력한 클리닉 서비스, 구독형 식물 케어 등 다양한 확장 모델이 요구됩니다.
결국 식물은 ‘키우는 대상’을 넘어, 정서적 안정과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 흐름은 더욱 강화될 전망입니다.
#식테크 #반려식물 #식집사 #식물산업 #몬스테라 #식물클리닉 #서울시클리닉 #식물재테크 #무늬몬스테라 #식물병원 #정서안정 #식물치료 #서울공공서비스 #식물시장규모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자격증 광고 실태 조사 총정리(문서 보고서) (0) | 2025.06.21 |
---|---|
유튜브 자격증 광고 실태 조사 총정리(인포 그래픽) (0) | 2025.06.21 |
2023년 원전 오염수 방류 후 바다 수질 관리 상태 (2) | 2025.06.17 |
서울시 GPR 탐사 땅꺼짐 지도 공개 (0) | 2025.06.16 |
창고형 약국 소비자는 환영 약사회는 반발 (2) | 202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