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1. 논란의 시작: 유튜브 프리미엄 결합 상품
- 2. 해외와 한국의 판매 방식 비교
- 3. 공정거래위원회의 문제 제기
- 4. 유튜브의 자진 시정안 내용
- 5. 업계 반응과 비판 지점
- 6. 소비자에게 미칠 변화
1. 논란의 시작: 유튜브 프리미엄 결합 상품
유튜브는 2018년부터 한국에서 광고 없는 동영상 + 유튜브 뮤직을 묶은 '프리미엄 서비스'만 판매해 왔다. 소비자가 동영상만 보고 싶어도 별도 선택권이 없었고, 현재 월 구독료는 14,900원이다.
2. 해외와 한국의 판매 방식 비교
국가 | 판매 방식 | 단독 상품 가격 |
---|---|---|
미국·유럽 등 | 동영상 단독 / 음악 단독 / 묶음 선택 가능 | 약 9.99달러 (약 13,500원) |
한국 | 광고 없는 동영상+음악 묶음만 판매 | 14,900원 |
※ 해외는 동영상 전용 상품이 결합 상품보다 평균 60% 저렴
3. 공정거래위원회의 문제 제기
- 💡 선택권 제한: 영상만 원하는 소비자도 음악 요금 강제 지불
- ⚠️ 공정경쟁 훼손: 국내 음원 서비스 플랫폼과의 경쟁 왜곡
- 🔍 공정위는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정식 조사 착수
4. 유튜브의 자진 시정안 내용
- 📦 동영상 단독 상품 출시 예정
- 💸 300억 원 규모 국내 음악 산업 지원 계획
- 📃 공정위는 이를 두고 동의의결 절차에 착수
- ※ 동의의결: 위법성 인정 전 자진 시정 → 사건 종결 가능
5. 업계 반응과 비판 지점
- 📉 이미 점유율 빼앗긴 국내 음원 업계 “회복 어려워”
- 🌍 일부 전문가 “통상 마찰 의식한 유화책일 뿐”
- 🧭 소비자단체 “늦었지만 당연한 조치”
6. 소비자에게 미칠 변화
- 📱 동영상 전용 상품 출시 시, <strong월 9천원 이하> 가격 가능성
- 🎵 음악 사용 의사 없는 소비자 부담 ↓
- ⚖️ 플랫폼 간 공정 경쟁 기반 조성 기대
📌 이 사건은 '글로벌 기업의 로컬화 전략'이 과연 공정했는가를 되묻는 중요한 사례로 남을 것이다.
출처 보기
🏷️ 태그
#유튜브프리미엄 #끼워팔기논란 #공정거래위원회 #유튜브뮤직 #구독서비스 #국내시장왜곡 #소비자선택권 #글로벌플랫폼정책 #동의의결 #SBS뉴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고비, 미용 목적 무분별 처방 부작용 속출·청소년 확대 우려 (4) | 2025.05.24 |
---|---|
🥚달걀값 3개월간27% 상승 정부 vs 업계 책임 공방소비자 실질 영향 (2) | 2025.05.24 |
🚨 무료 출장 세차로 위장한 조직형 차량 절도 수법 주의 (0) | 2025.05.23 |
🪙 쑨(SOON) 원화 마켓 상장 기념 에어드랍 이벤트 (2) | 2025.05.23 |
서울시 한강 다회용기 배달 서비스 이용 안내 (0) | 2025.05.23 |